생물 연구 30

조복성(趙福成, 1905~1971)

식민지 그늘에서 큰 곤충학자 조복성(趙福成, 1905~1971) 글_이주희 우리나라 생물 연구의 역사를 이야기하려면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과 우리 연구자들 사이의 관계를 짚어보지 않고서는 논의를 시작할 수 없다. 특히 곤충 연구에 있어 식민지시기에 학자로 성장하여 해방 이후 우리 스스로 곤충 연구를 시작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 두 사람이 있다. 바로 석주명(石宙明, 1908~1950)과 조복성(趙福成)이다. 그러나 석주명은 많지 않은 나이에 요절하면서 아쉽게도 많은 후학을 길러내지 못한 반면, 조복성은 지금 우리나라 생물학계의 많은 원로들을 직간접적으로 가르쳤던 스승으로 우리나라 생물연구 특히 곤충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곤충학자를 꿈꾸던 식민지 청년 1905년 12월 3일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난 ..

칠엽수 (말밤나무)

칠엽수 (말밤나무) 학명: Aesculus turbinata Blume, 1847 일본 원산의 칠엽수과(Hippocastanaceae)의 낙엽성 넓은잎 큰키나무. 정원수나 가로수로 심는다.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모양의 겹잎으로 작은잎은 5~7장이다. 어린잎은 작은잎이 5장이지만 크면 7장이 된다. 그래서 칠엽수(七葉樹)라고 부른다. 꽃은 붉은 빛을 띠는 흰색이며 5~6월에 핀다.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3갈래로 갈라짐)이고 가을에 익는다. 칠엽수를 마로니에(marronnier)라고도 부르는데, 마로니에는 유럽산 칠엽수속 식물을 가리키는 프랑스어다. 아시아산 칠엽수와 구분하기 위해 서양칠엽수, 가시칠엽수(열매 껍질에 가시가 있음)라고 부른다. 씨앗은 밤톨처럼 생겼다. 열매가 익어서 3..

율마 [윌마] Goldcrest wilma

율마 [윌마] Goldcrest wilma 원종 학명: Cupressus macrocarpa [= Hesperocyparis macrocarpa] 영명: Monterey cypress 품종명: Goldecreat wilma 원종은 북미 캘리포니아 중부 해안의 일부 지역에 분포하는 측백나무과(Cupressaceae)의 상록 침엽수다. 지난 빙하기 때 번성하다 쇠퇴한 멸종 위기종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취약종(Vulnerable)을 지정되어 있다. 원예종으로 다양하게 개발되는데, 그중에 골드크레스트(Goldecreat)가 대표적이다. 골드크레스트도 여러 품종이 개발되었는데, 율마(윌마)도 그중 하나다. 2020년 4월 12일 키우기 까다로운 식물로 알려져 있다. 지난 여름(2019년 7월 9일) 우리..

호야 [옥접매] Hoya carnosa (L.f.) R.Br.

호야 [옥접매] 학명 : Hoya carnosa (L.f.) R.Br. 영명 : porcelainflower, wax plant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의 덩굴성 상록 여러해살이풀.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 자생하며 원예식물로 오래되 전부터 이용되었다. 호야속(Hoya)에 200~300종이 알려져 있는데, 동남아시아, 중국, 인도, 호주 등지에 분포한다. 꽃가게에서 큰 나무를 사면 서비스로 끼워주는 흔한 원예 식물로 꽃 향이 좋다는데 꽃 핀 모습을 한 번도 본적이 없다. 지난 가을(2019년) 무렵에 집사람이 사와서 왔는데, 지켜보고 있다. 2020년 4월 3일(금) 처음 사왔을 때부터 화분이 뿌리로 꽉 차서, 조금 큰 플라스틱 화분으로 분갈이를 했다.

원종 자라고사 Echeveria sp.

원종 자라고사 Echeveria sp. 학명 : Echeveria sp. [품종명 불확실] ‘원종 자라고사’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원예종으로 이종 교배된 품종 같은데 정확한 족보는 더 찾아봐야겠다. 에케베리아 속은 꽃을 피우는 돌나물과(Crassulaceae)의 상록성 또는 낙엽성의 식물로 150여 종을 거느린 거대한 분류군. 중앙아메리카, 멕시고, 남아메리카 북서부의 반 사막 지역에 자생한다. 계통분류학적으로 검토가 필요하며 여러 계통으로 쪼개질 가능성이 크다. 2019년 9월 24일(화) 2000원 주고 동네 화원에서 구입. 물주기는 한 달에 1회, 소주 반 컵 정도로 조금만 주라고 한다. 낮은 온도, 햇볕, 통풍이 중요하단다. 겨울에 볕이 잘 드는 베란다에 두면 싱싱하게 자란다고. 2020년 4월 ..

종지나물 Viola sororia Willd.

종지나물 학명 : Viola sororia Willd. (syn. Viola papilionacea) 영명 : common blue violet, common meadow violet, purple violet, the lesbian flower, woolly blue violet, hooded violet, wood violet.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해방 무렵에 미국에서 건너온 귀화식물로 알려져 있다. 북미 동부 지역이 원산지다. 그래서 미국제비꽃이라고도 부른다. 토종 제비꽃들보다 꽃이 커서 눈에 띈다. 잎이 작은 그릇인 ‘종지’ 모양이라고 해서 종지나물이라고 불리는데, 그냥 넓은 심장 모양일 뿐 종지가 연상되지는 않는다. 이름을 붙인 사람 누굴까? 종지나물은 이름처럼 식용이 가능하다. 북미..

서향 [천리향] Daphne odora Thunb.

서향(瑞香) [천리향] 학명 : Daphne odora Thunb. 영명 : daphne odora, winter daphne, fragrant daphne)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상록성 관목. 중국이 원산이며 우리나라 남부와 일본에 도입되어 자생한다. 옅은 분홍색 꽃이 핀다. 우리나라 자생종인 백서향은 흰꽃이 핀다. 열매는 붉은 장과이며 거의 맺지 않는다. 중국 이름을 차용해 서향이라고 하며, 원예명은 천리향, 일본에서는 침정화(ジンチョウゲ, 沈丁花)로 부른다. 가을에 포기 나누기를 하거나 꺾꽂이로 증식할 수 있다. 유기물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 심고, 건조한 것을 싫어한다. 특별한 시비는 필요 없다. 수명이 길지 않아 8~10년이면 노화. 다프네 속 식물은 일반적으로 뿌리가..

워터 코인 Hydrocotyle vulgaris

워터 코인 Hydrocotyle vulgaris 학명 : Hydrocotyle vulgaris L. 영명 : marsh pennywort, common pennywort, water naval, money plant, lucky plant, copper coin 북아프리카, 유럽, 코카서스, 동부 지중해 등지에 자생하는 다년생 수초 2020년 3월 25일 - 2019년에 구입한 워터 코인. 그해 가을(9월 중-하순)에 꽃을 피웠는데, 베란다에서 따뜻했던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봄이 되자 꽃을 피웠다. 위키피디어 https://en.wikipedia.org/wiki/Hydrocotyle_vulgaris Hydrocotyle vulgaris - Wikipedia Hydrocotyle vulgaris, also..

담쟁이덩굴

담쟁이덩굴 - 채집일 : 2020년 2월 23일 - 장소 :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 호만천 산책로 2020년 3월 17일 포도과 식물답게 씨앗이 포도를 닮았다. 겨우내 마른 열매를 채집해서 분해해보니 씨앗이 4개씩 들어가는데 수분이 안 된 것은 3개씩 들어 있기도 하다. 상온에서 지퍼백에 담아 보관하다가 오늘(3월 17일) 씨앗 일부를 물에 불려두었다. 하루 정도 불렸다가 파종해서 관찰해 보자. 2020년 3월 18일 하루 정도 물에 불린 담쟁이덩굴 씨앗을 파종(20개 정도) 2020년 4월 2일 (목) 지난 3월 17일 물에 불렸던 담쟁이덩굴 중에서 18일에 파종하고 남은 씨앗 3개를 플라스틱 통에 물에 적신 휴지를 깔고 발아를 시도했다. 16일 경과한 오늘 확인해보니 2개에서 뿌리가 완전히 나왔다. ..

Evolutionary history and global spread of the Mycobacterium tuberculosis Beijing lineage

Evolutionary history and global spread of the Mycobacterium tuberculosis Beijing lineage Matthias Merker, Camille Blin, Stefano Mona, Nicolas Duforet-Frebourg, Sophie Lecher, Eve Willery, Michael G B Blum, Sabine Rüsch-Gerdes, Igor Mokrousov, Eman Aleksic, Caroline Allix-Béguec, Annick Antierens, Ewa Augustynowicz-Kopeć, Marie Ballif, Francesca Barletta, Hans 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