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연구 29

새로운 조류 2아종_남태경(1952)

"새로운 鳥類 二亞種" 저자: 남태경 간행물명: 대학신문 (1호) 1952년 2월 11일 발행 발행처: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소장처: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82SNU_ALMAD 새로운 鳥類 二亞種 一九五○年 六月一日부터 同五日까지 德積群島의 鳥類를 調査採集하였다 同群島는 北위 三七度線 東經 一二六度 線上에 놓여있으며 南陽半島가 西海로 뻗어나가서 이루어진 一連의 群島로 德積島 蘇야島 文甲島 白牙島 仙甲島 等 大小 三○餘島로 되어있고 우리나라 中部地域의 最西方의 國土이다 今般에는 同島에서 처음으로 鳥類 一三科 三二種 亞種을 採集하여 調査하였다 同島의 鳥類相은 亦是 溫和한 海洋性氣候의 影響을 받아 南方系統의 鳥類가 浸透였고 海岸의 岩壁과 海岸松林에는 바다직박구리 방울새 박새 솔새 오목눈새이[오목눈이새]같은 새..

<야생동물 구조, 치료센터 실무 지침서>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환경부 2020. 12.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가 개소 10주년을 맞아 환경부와 함께 (2020.12)를 발간했다. 야생동물을 구조, 치료, 재활, 자연으로 복귀시키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10년 간의 현장 경험이 축적되어 있다. 야생동물의 생태를 이해하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자료다. 우리나라에서 야생동물 보호에 가장 앞장 서는 충남센터 관계자들의 노고와 열정에 감사하다. # 전자책 다운로드 [출처] 야생동물 구조,치료센터 실무 지침서 발간|작성자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다운로드 받기 : https://drive.google.com/file/d/1HxLHJvkz-YgMlIMQdQJOXivzsCI3a0HE/view?usp=sharing

우리나라 꼬마잠자리, 한국꼬마잠자리(N. koreana) 신종으로 분리

Journal of Species Research 9(1):1-10, 2020 Nannophya koreana sp. nov. (Odonata: Libellulidae): A new dragonfly species previously recognized in Korea as the endangered pygmy dragonfly Nannophya pygmaea Rambur Yeon Jae Bae1,2,*, Jin Hwa Yum1, Dong Gun Kim3, Kyong In Suh4 and Ji Hyoun Kang5 A new dragonfly species, Nannophya koreana sp. nov., is described from Korea on the basis of morphology and..

최기철(崔基哲, 1910~2002)

한반도 민물고기의 역사를 새로 쓰다 최기철(崔基哲, 1910~2002) 글_이주희 | 사진제공_우리교육 우리나라 민물고기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최기철 선생은 생물학자이기 전에 우리나라 과학교육의 터전을 닦은 교육자로 높이 평가받는다. 그는 1910년 10월 16일 대전에서 태어나 두 살 때 부친을 여의고 홀어머니와 동생과 함께 어렵게 살아야 했지만, 다행히 친척들의 도움으로 정규교육과정은 제대로 밟을 수 있었다. 1925년 대전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할 무렵 경성사범학교와 경성철도학교에 동시에 합격한 그는 고민 끝에 교육자의 길을 걷기 위해 사범학교로 진학한다. 경성사범학교에서 보낸 6년간은 본격적으로 생물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된 시기다. 최기철 선생은 식민지라는 답답한 현실 속에서 인생의 진로를 놓고 깊..

분자생태학 톺아보기 _ 전형배 박사

분자생태학 톺아보기 BRIC(https://www.ibric.org/) 저자: 전형배 / Pisces (필명) (캐나다 Concordia University) 분자생태학을 전공하고 현재 박사후 연구원으로 “인위적 교란에 따른 담수어류의 진화"를 집단유전체의 방법론으로 연구하고 있다. 과학자는 지식의 발견과 더불어 지식의 확산이라는 소명을 갖고, 분자생태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저변을 확대하고자 연재를 시작하게 되었다. [분자생태학 톺아보기] 1편 - 분자생태학의 서막 [분자생태학 톺아보기] 2편 - 분자생태학에서 이용되는 마커들 [분자생태학 톺아보기] 3편- 생명의 나무, 계통수 [분자생태학 톺아보기] 4편 - 나의 이름을 불러줘, DNA 바코딩 [분자생태학 톺아보기] 5편 - 환경 DNA (Envi..

정태현(鄭台鉉, 1882~1971)

혼돈의 시대에 식물분류학의 토대를 쌓다 정태현(鄭台鉉, 1882~1971) 글_이주희 | 자료협조_이우철 강원대 명예교수 하은(霞隱) 정태현(鄭台鉉)은 1882년 9월 21일 경기도 용인에서 태어나 구한말부터 해방 후까지 활동한 우리 식물연구의 선구자이자 살아 온 삶 전체가 우리 식물연구의 역사인 존재다. 그는 시골로 낙향한 선비 집안의 장남으로 13살까지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했으나, 이듬해인 1895년 부친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학업을 중단하고 장남으로서 농사일로 가계를 책임져야했다. 1905년 24살이 되던 해 뜻한 바가 있어 농사일을 그만두고 서울로 올라가 상투를 자르고, 낮에는 염색소(染色所)에서 일하고 밤에는 광무학교(光武學校)라는 일본어강습소에서 공부했다. 얼마 후에 양잠학교로 옮겨 1년간 ..

정문기(鄭文基, 1898~1995)

수산학의 기틀을 다진 물고기 박사 정문기(鄭文基, 1898~1995) 글_이주희 유수(流水) 정문기(鄭文基)는 우리나라 어류연구과 수산학에 기틀을 다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1898년 9월 19일 전남 순천의 한 한학자 집안에 3형제 중 막내로 태어났다. 7살부터 서당공부를 시작했으나 흥미를 못 느껴, 1년 쯤 다니다 신학문을 가르치는 강습소에 들어간다. 이후 순천보통학교와 은성학교를 거쳐 서울로 유학, 경신학교에 편입한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일본인 교장의 조선인 비하 발언 문제로 전교생 동맹휴학 사건이 일어나고, 그 과정에서 그를 포함한 4학년 전부를 중앙학교로 전학하는 조치가 취해진다. 중앙학교는 현 고려대학교와 동아일보의 창설자이기도 한 인촌(仁村) 김성수(金性洙, 1891~1955)가 ..

석주명 (石宙明, 1908~1950)

나는 나비 밖에 모르는 사람이오 석주명 (石宙明, 1908~1950) 글_이주희 나비학자 석주명(石宙明)은 1908년 11월 13일 평양에서 태어나, 1926년 개성 송도고등보통학교를 졸업, 같은 해 일본 가고시마(鹿兒島)고등농림학교에 농학과에 입학해서 오카지마 긴지(岡島銀次, 1875~1955) 교수의 권유로 한국산 나비 연구에 관심 갖는다. 1929년 졸업과 함께 박물교사로 함흥 영생고보에서 일했고, 1931년에 모교인 송도고보로 옮긴다. 이때부터 1942년까지 11년 동안이 그가 가장 왕성한 연구 활동을 펼친 시기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생약연구소에 촉탁으로 들어가면서(1942) 시험소가 있던 제주도에서 2년간 머무르게 된다. 이때 석주명은 나비연구뿐만 아니라 제주 지역에 관한 연구를 했다. 해방 후..

조복성(趙福成, 1905~1971)

식민지 그늘에서 큰 곤충학자 조복성(趙福成, 1905~1971) 글_이주희 우리나라 생물 연구의 역사를 이야기하려면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과 우리 연구자들 사이의 관계를 짚어보지 않고서는 논의를 시작할 수 없다. 특히 곤충 연구에 있어 식민지시기에 학자로 성장하여 해방 이후 우리 스스로 곤충 연구를 시작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 두 사람이 있다. 바로 석주명(石宙明, 1908~1950)과 조복성(趙福成)이다. 그러나 석주명은 많지 않은 나이에 요절하면서 아쉽게도 많은 후학을 길러내지 못한 반면, 조복성은 지금 우리나라 생물학계의 많은 원로들을 직간접적으로 가르쳤던 스승으로 우리나라 생물연구 특히 곤충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곤충학자를 꿈꾸던 식민지 청년 1905년 12월 3일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