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4

우리나라 꼬마잠자리, 한국꼬마잠자리(N. koreana) 신종으로 분리

Journal of Species Research 9(1):1-10, 2020 Nannophya koreana sp. nov. (Odonata: Libellulidae): A new dragonfly species previously recognized in Korea as the endangered pygmy dragonfly Nannophya pygmaea Rambur Yeon Jae Bae1,2,*, Jin Hwa Yum1, Dong Gun Kim3, Kyong In Suh4 and Ji Hyoun Kang5 A new dragonfly species, Nannophya koreana sp. nov., is described from Korea on the basis of morphology and..

명천(明川)의 태(太) 씨가 잡은 물고기? 명태

명천(明川)의 태(太) 씨가 잡은 물고기? 명태 글_이주희 대구(大口)과에 속하는 한류성 바닷물고기인 명태(明太)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즐겨 먹는 생선이다. 농림수산식품부(현 해양수산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연간 26만 톤 가량을 소비한다. 명태는 동해에서 시작해 오호츠크해와 베링해에 이르는 북태평양의 차가운 바다에서 사는 한류성 어종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어족자원 중에 하나다. 그런데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2008년 이후로 명태가 잡히지 않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상승으로 더 이상 동해 연안에서 명태가 살 수 없게 된 것이다. 거기에 무분별한 어획으로 1990년대를 기점으로 전 세계적으로 명태의 어획량이 급감했다. 한때 연간 600만 톤 이상이 잡힐 때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 절반..

제주도에서 발견된 키 작은 콩나무 - 만년콩

제주도에서 발견된 키 작은 콩나무 만년콩 글_이주희 만년콩(萬年콩, Euchresta japonica)은 콩과의 상록성 소교목으로 중국과 일본 혼슈 중부이남 지역에 서식한다고 알려진 식물이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 제주도 서귀포시 돈내코 계곡 상록 활엽수림에서 나무 할아버지로 유명한 김이만(金二萬, 1901~1985) 씨가 발견함으로써 국내 자생이 확인되었다. 발견 당시만 해도 한라산 남부 일대에 상당히 많은 개체가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관상용으로 무분별하게 채취되어 지금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I급으로 지정되었다. 중국에서도 같은 이유로 보호하고 있다. 만년콩은 높이가 30~60cm로 작은 편인데다 울창한 활엽수림 사이에서 자라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봄에 흰 꽃을 피우고, 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