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연구/자료실

새로운 조류 2아종_남태경(1952)

식물인간 2021. 5. 4. 14:40

 

"새로운 鳥類 二亞種"

저자: 남태경

간행물명: 대학신문 (1호) 1952년 2월 11일 발행

발행처: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소장처: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82SNU_ALMAD

 

 

새로운 鳥類 二亞種

 

一九五年 六月一日부터 同五日까지 德積群島鳥類調査採集하였다 同群島三七度線 東經 一二六度 線上에 놓여있으며 南陽半島西海로 뻗어나가서 이루어진 一連群島德積島 蘇島 文甲島 白牙島 仙甲島 等 大小 三餘島로 되어있고 우리나라 中部地域最西方國土이다 今般에는 同島에서 처음으로 鳥類 一三科 三二種 亞種採集하여 調査하였다 同島鳥類相亦是 溫和海洋性氣候影響을 받아 南方系統鳥類浸透였고 海岸岩壁海岸松林에는 바다직박구리 방울새 박새 솔새 오목눈새이[오목눈이새]같은 새가 多數 群形成하여 서하고 있고 다른 서에서도 많이 보는 바와 같이 큰뿌리가마귀도 많은 形成하고 있어서 島民은 이것을 까구매라고 무[부]르고 있었다. 今般 採集에 있어서 特記할 것은 우리 韓國에 있어서 처음으로 左記未記錄 二亞種發見한 것은 後日論文으로서 發表하려고 한다

 

1. Parus major docjukte[n]sis 덕적박새

2. Chloris sinica docjuktensis 덕적방울새

 

韓國의 박새는 現在까지 三亞種發表되어 있다

 

Parus major dageletensis 울도박새

P. m. wl[a]diwostokensis 한국박새

P. m. minor 박새

 

울도박새는 一九二日本黑田長禮氏森爲三氏同定한 것으로 東海의 울陵島하여 서하고 있는 亞種이고 한국박새는 一九二八年籾山德太郎氏同定한 것으로 韓國本土에 서하고 있고 박새는 一九四九年Siebold日本에서 採集한 것을 Temminck et Schlegel 兩氏同定한 것으로 濟州道 對馬島 日本等地에 서하고 있다. 今般 筆者?[德]積島에서 採集하여 同定한 덕적박새는 獨特色彩形態的 標徵을 가지고 있는 亞種이다 방울새에 있어서도 旣往에 다음 三亞種發表되었다

 

Chloris sinica clarki 울도방울새

C. s. ussuriensis 방울새

C. s. minor 장박새

 

울도방울새는 黑田長禮氏森爲三氏同定한 것으로 東海의 울陵島하여 있고 방울[]一九三年Hartert 同定한 것으로 滿洲東半部 우스리地方 韓國本土에 서하고 [있]고 장박새는 一八五Siebold日本에서 採集[것]F[T]emminck et Schleger[l] [氏]固[同]한 것으로 濟州道 對馬島 日本에 서하고 있다 덕적방울새는 장박새보다는 大形이고 그 色彩頭上이 지튼 오리褐色이고 腹面褐色도 지트고 黃色을 띄우고 있고 날개의 黃色반은 大端濃厚하다 各部測定은 다음과 같다

방울새는 歐羅巴亞細亞溫帶地方亞弗利加北部에 서하고 있어서 모두 二種이 있고 그中 一種中四亞種이 우리 韓國에 서하고 있다. 耕地 林落附近에 살고 있고 移動하는 亞種<>었어서는 秋季數百마리가 大群이 되어서 移動한다 冬季에는 二十마리가 小群形成하여서 原野 耕地 等에 내린다 놀래면 圓形으로 數回 飛行하다가 다시 앉았던 자리로 돌아오는 性質이 있다 비행할때에는 ????<뺄뺄뺄뺄>하고 소리를 내이고 날개의 黃色顯著하여서 바로 區別할 수가 있다 食性雜草種子待[特]夏季에는 害蟲[驅]이 커서 農林業益鳥이다 德積島에는 春秋東北지베리아 北滿洲印度支那及 南洋諸島方面과 사이에 候鳥多數群形成하여서 渡來하는 中繼地가 되어있어서 鳥類移動生態學的 硏究를 하기에 適切地域으로 認定하였다 우리 韓國에 있어서도 美國을 비롯하여 日本及 歐美各國에서 實施하고 있듯이 林業試驗所設置하여 여기에 有能學者配置하고 農作物害蟲驅除?<對>調査硏究及 生態學的 實驗을 하는 한편 益鳥保護及 狩獵鳥의 양殖事業推進시키는 同時各國에서 많은 成果를 올리고 있는 標識法 Birds Banding鳥類移動硏究 等早速時日內實施되기를 期待하여 마지않는다 (文理大敎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