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장 작업실

아리랑의 파랑새 - 조류학자 원홍구‧원병오 부자 이야기 (2018)

식물인간 2021. 2. 11. 01:05

서울대 수의대 이항 교수님,

일본의 엔도 키미오 선생님,

이제 고인이 되신 원병오 교수님...

한국범보전기금 연구원들 덕분에 재밌게 작업했던 책...

 

그러나, 조류와 생태 분야 사람들의 관심의 폭이 얼마나 좁은지 일깨워 준 책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 애정이 많으신 엔도 선생님의 글은 참 쉽고 간결해서 좋다.

극동 러시아와 북한에서 냥꾼으로 이름을 떨친, 얀코프스키 일가에 관한 선생의 책도 번역 출간 의뢰를 받았지만,

과연 얼마나 팔 수 있을지 엄두가 나지 않아 책장에 그냥 고스란히 꽂혀 있다.

연세가 고령이라 돌아가시기 전에 한번 뵈었으면 좋겠는데...

 

 

--------------------------------

 

 

아리랑의 파랑새

- 조류학자 원홍구원병오 부자 이야기 -

 

지은이 : 엔도 키미오

쪽 수 : 224

판 형 : 140×210mm

책 값 : 13,000

펴낸날 : 2018825

펴낸곳 : 컵앤캡(Cup&Cap)

ISBN 979-11-955628-4-8 43910

 

이 책의 한국어판 인세는 전액 ()한국범보전기금(http://savetiger.kr/)에 기부되어 멸종 위기의 한국 호랑이와 표범의 보전과 복원을 위해 쓰입니다.

 

<책 소개>

이 책은 우리나라 1세대 조류학자인 김일성종합대의 원홍구 선생과 그 아들인 경희대 명예교수 원병오 선생의 가족사를 다룬 이야기다. 두 사람은 한국전쟁 때 헤어져 생사조차 모르다가 아버지의 뒤를 이어 남한에서 조류학자가 된 원병오 선생이 1963년 서울에서 연구용 알루미늄 가락지를 달아 날려 보낸 작은 새 한 마리가 이듬해에 원홍구 선생이 살던 평양에서 발견되면서 서로의 소식을 알게 된다. 이는 최초로 남북 이산가족의 생사를 확인시켜준 사건으로 당시 세계적으로도 큰 화제가 되었다.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원홍구‧원병오 선생의 가족사는 굵직한 사건들과 역사적 인물들로 채워져 그야말로 한국 현대사를 고스란히 압축하고 있다. 남과 북에서 활약한 두 조류학자의 이야기는 특별한 누구가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할아버지와 할머니, 아버지와 어머니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 책은 우리의 아픈 현대사를 딱딱한 역사학이나 이념의 관점이 아니라 가족애와 보편적인 인류애로 풀어가고 있어 앞으로 통일을 준비해야 하는 다음 세대들에게 던지는 울림이 작지 않다.


<출판사 서평>

 

한국 현대사의 축소판, 조류학자 원홍구‧원병오 부자 이야기

이 책은 일제강점기 때 우리나라 생물에 관한 연구를 일본인들이 주도하는 가운데서 독자적으로 조류를 연구하고 우리말로 된 조류 명칭을 정리하는 등 우리나라 1세대 조류 연구자로 평가되는 원홍구 선생과 그 아들인 경희대학교 명예교수인 원병오 선생의 가족 이야기다.

 

두 분은 한국전쟁 때 헤어져 생사조차 모르다가 아버지의 뒤를 이어 남한에서 조류학자가 된 원병오 선생이 1963년 서울에서 날려 보낸 작은 새 한 마리가 이듬해에 원홍구 선생이 살던 평양에서 발견되면서 서로의 소식을 알게 된다.  이 드라마 같은 이야기는 세계가 자유주의와 공산주의 진영으로 갈라져 대립하던 당시에 주요 외신을 통해 알려지면서 세계인들이 감동했다.

 

원홍구 선생은 1888년 4월 8일 평안북도 삭주에서 태어나 1910년 수원농림학교를 졸업하고 1911년 제1차 일본관비유학생 시험에 합격해 일본 가고시마고등농림학교에서 3년간 유학했다. 1915년 졸업과 함께 귀국하여 농업시험장에서 잠시 근무하다 1920년 개성의 송도고등보통학교에 박물학(생물학) 교사로 부임하면서 본격적으로 생물 연구자이자 교육자로서 길을 걸었다.

 

1931년 평남 안주공립농업학교로 옮긴 뒤부터는 조류 연구에 매진했고, 교직에 머무는 동안 가르친 많은 제자들이 훗날 남한과 북한의 정계와 학계에서 크게 활약했습니다. 나비연구가로 유명한 석주명(石宙明, 1908~1950)도 송도고보 재학 시절에 가르친 제자다. 또한 슬하의 장남인 원병휘 박사는 포유류 전문가로 동국대학교 생물학과 교수를 지냈고, 이 책의 주인공인 막내 원병오 박사는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해방 이후 남한에서 조류 연구를 사실상 주도했다.

 

원홍구 선생은 분단 후 김일성종합대에서 생물학을 가르쳤고, 과학원생물학연구소 소장을 지내며 북한의 생물학 특히 조류, 포유류, 양서류 등 척추동물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원로 학자로서 김일성의 각별한 총애를 받았던 원홍구 선생은 1970년 10월 3일 작고하여 북한의 국립묘지에 해당하는 애국열사릉에 묻혔다.

 

이 책은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원홍구 선생 가족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가족사가 아니라 그야말로 한국 현대사를 압축하고 있다. 원홍구‧원병오 선생의 이야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지만, 책으로 묶인 것은 1984년에 일본에서 출간된 이 책이 처음이다. 군사독재 시절에 북한과 관련된 내용의 책을 우리나라에서 출간하기는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쓴 일본의 아마추어 생물연구가이자 논픽션 작가인 엔도 키미오는 우리나라에 대한 애정이 남다르다. 우리가 관심 갖지 못한 우리나라의 호랑이와 표범이 어떻게 사라지게 되었는지를 추적하여 『한국 호랑이는 왜 사라졌는가?』와 『한국의 마지막 표범』이라는 책을 내기도 했다. 1960년 도쿄에서 열린 국제조류보호회의에 참석하려고 일본을 방문한 원병오 선생을 만났을 때 원홍구‧원병오 두 분의 가족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나중에 이 책을 쓰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남북문제를 소재로 한 책을 우리가 직접 쓰기는 쉽지 않다. 우리 모두가 남북문제의 당사자이기에 객관적으로 바라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의 저자가 보여주는 시선이 더 객관적으로 다가온다. 우리와 무관하지 않으면서 남북의 정치 상황에 얽매이지 않는 입장이라서 그렇다. 일제 침탈의 역사를 반성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진심으로 바라는 작가의 마음도 읽을 수 있다.


<지은이 소개>

 

■ 지은이
엔도 키미오 遠藤 公男
1933년 일본 이와테현岩手県 이치노세키시一関市 출생의 작가, 동물연구가. 산골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며 야생동물 생태를 연구하며 글을 썼다. 1974년에 퇴직하여 전업 작가로 활동하며 논픽션 동물문학 작품을 발표했다. 지은 책으로는 『원생림의 박쥐』, 『돌아오지 않는 참수리』(일본아동문학인협회 신인상, 주니어논픽션문학상 수상), 『꿩의 생활』, 『곰 사냥으로의 초대』, 『검독수리와 소년』, 『개똥지빠귀의 황야』(일본아동문예가협회상 수상), 『얀코프스키가의 사람들』 등이 있다. 또 우리나라와 인연이 깊어 『한국 호랑이는 왜 사라졌는가?』(이담북스, 2009), 『한국의 마지막 표범』(이담북스, 2014) 등 한반도 야생동물의 멸종 과정을 추적하여 책으로 펴낸 바 있다.

 

■ 옮긴이
정유진
경기도 수원 출생. 성신여자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고 일어일문학을 부전공했다.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한국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Conservation Genome Resource Bank for Korean Wildlife) 연구원이다. 옮긴 책으로는 『한국의 마지막 표범』이 있다.

 

이은옥
경상북도 문경 출생. 동경농공대학교에서 큰부리까마귀의 날개 구조색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 선임연구원으로 있다. (사)한국조류학회 이사를 역임했으며 옮긴 책으로는 『한국 호랑이는 왜 사라졌는가』, 『한국의 마지막 표범』 등이 있다.

 

■ 감수
구태회
1944년 서울 출생. 경희대학교 및 경남대학교에서 동물생태학을 전공했다. 1980년 경희대학교 환경보호학과에 교수로 취임해 2009년 정년퇴임했다. 한국조류학회 회장과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명예교수이다.

 

<차례>

제1장 식민지의 비애
물새의 낙원 8 | 형제의 나라 12 | 국제조류보호회의 15 | 가족을 데리고 안주로 21 | 역사 깊은 도시 26 | 힘내요! 원 선생 35 | 늑대가 나타났다? 40 | 금눈쇠올빼미 44 | 도쿄 수학여행 52 | 항일 운동 59

 

제2장 강요된 일본어
마라톤 금메달과 동메달 64 | 황국신민 맹세 70 | 일본 신사 참배 76 | 일본어를 모르는 어머니 79 | 경찰서장의 작은 새 86 | 땅을 빼앗기고 91 | 창씨개명 95

 

제3장 독립의 꿈
여학교의 교장이 되다 100 | 북방쇠찌르레기의 번식 107 | 인내 112 | 헌병 대령의 협박 116 | 모국어는 더러운 것인가 120 | 독립 만세 125 | 총에 맞은 병수 130 | 가짜 김일성 133

 

제4장 한국전쟁
미국과 소련의 대립 140 | 김일성의 야망 144 | 인천상륙작전 150 | 부모님의 피난처로 153 | 중공군의 참전 156 | 평양을 떠나는 형제 158 | 원폭 투하의 공포 163 | 혜경은 어디에 170

 

제5장 행복의 파랑새
길 잃은 한국의 자연 176 | 야생동물 보호가 시급한 이유 180 | 평생의 인연 185 | 북방쇠찌르레기의 가락지 189 | 다섯 아이를 모두 잃고 193 | 부자를 이어준 철새 198 | 누구를 위한 아리랑인가 204

 

작가 후기 209 | 편집자 후기 213 | 편집자 주 219

 

컵앤캡(Cup&Cap) 031-516-1605 이메일 cupncap@hanmail.net

'주인장 작업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리랑의 파랑새 (2018) 편집자 후기  (0) 2021.02.11
주인장 소개  (0) 2020.04.30